적절하게 거리두기
우리나라 여성의 삶 - 에릭슨발단단계를 따라
5강
프로젝트

아주 어렸을 때, 학교에 가기 훨씬 전에 수아가 엄마에게 했다는 말이 기억납니다. “엄마 이런 말 해도 돼? 엄마 미워해도 돼?” 엄마 없으면 못 살 것 같은 생각도 있으면서 그 엄마와 거리를 두려고 하는 아이가 그런 마음을 가지는 것이 용납되는 것인지 마음이 복잡했던 것입니다. 지금 고등학생이 된 수아가 그때 마음을 기억하는지 모르겠지만, 가까운 사람과의 관계에서 안전하게 떨어져 그 관계를 위협하지 않으면서도 혼자만의 자리를 가질 수 있고, 즐길 수 있는지는 언제나 우리를 고민에 빠지게 합니다.


아무리 친한 사이라도 그 사람과만 사이좋게 밀착된 관계로 살 수 없습니다. 그 뿐 아니라 그 친한 사람과도 다른 생각을 할 수 있고, 달리 판단하고, 달리 행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 다른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각기 다르게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으면서 서로 다름을 인정하면서도 서로 사랑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제일 가깝다는 부부가 다른 종교를 가질 수도 있고, 다른 정당에 가입할 수도 있습니다. 남편의 의견과 다른 의견을 가진다는 것은 극히 자연스러운 일일 뿐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야만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과 협력이 가능해 집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렇지 않습니다. 요즘 ‘협치’라는 말이 자주 나옵니다. 자기와 똑같은 사람들이 아무런 다른 말없이 일사불란으로 ‘협치’할 것을 기대했기 때문이 아닐까요? 서로 다를 것이라는 현실을 알고 있었다면, 자기 생각과 다른 판단을 기대했어야 하고, 그 다른 생각의 사람들과 어떻게 같이 갈 수 있을 것인가 열심히 그 방도를 찾아내려 할 것이고, 그런 노력 끝에 해결점에 이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의 문제점은 각기 다른 생각을 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아서, 자기의 생각이 옳고 다른 생각은 그르다고 여기는 데에서 문제가 비롯되나 봅니다. 그러니까 자기가 가진 생각만 유일한 것이라고 고집합니다.


정치가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부부 사이도 그렇고, 엄마와 아이 사이도 그렇습니다. 엄마가 아이에게 엄마 뜻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그 것을 알아들은 엄마가 아이의 반응을 잘 지켜보고 협력하면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그런데 아이에게 제대로 전하지 않고는 엄마 마음대로 처리합니다. 아이는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고, 제대로 상황의 앞뒤를 이해하지 못한 엄마를 설득할 재량이 아직 없으니 아이가 어릴수록 소리 지르며 악쓰며 울고, 떼쓰게 됩니다.  엄마는 “왜 울어?!!” 소리 지르고, 엄마와 아이 서로 알 수 없어, 정말로 답답한 전쟁이 시작됩니다. 온갖 다른 문제로 번집니다. 젖을 뗀 아이가 다시 젖 달라 하다가, 안아달라 하다가, 결국, 지쳐서 원인은 덮어둔 채 휴전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니 이런 상황은 반복하게 됩니다.


부부싸움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어느 부부 누구 빼놓지 않고 싸움의 원인을 들어보면 하나같이 “사소한 것” “시시한 일”로 싸웠다고 합니다. 상대방의 아주 간단한 작은 몸짓, 표정, 신음소리를 처음부터 알아차렸다면, 자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작 표현했다면 생기지 않을 전쟁을 펼치게 됩니다. 청년기에 가까운 관계를 잘 맺는다는 것은 서로를 향한 서로의 마음 씀씀이의 조절이 필요한 겁니다. ‘나와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그 사람과 다른 나’를 제대로 아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다르다는 것은 사람 사이에 ‘거리두기’ 하기를 요구합니다. 똑같이 겹쳐질 수 없는 관계임을 인정해야 하니까요.


또 “초록이 동색”이라는 우리의 억지를 떠올립니다. 같은 것을 기대하니 서로 다른 것을 피하게 됩니다. 아니, 나와 다른 것을 이상하다 하고 정죄하기까지 합니다. “달라서 좋아!”의 느낌을 만끽할 수 있어야 하나님 형상으로 지음받은 존귀한 인류 모두를 품을 수 있습니다. 그 인류에는 자기 자신도 있습니다. 자기도 있고, 다른 사람도 있고, 그리고 적절하게 거리도 두고, 푸근한 사랑도 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