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바다 방출을 막으려면 "일본 내 반대 목소리와 함께 국제적인 압력이 높아지는 것이 관건"(한겨레)
프로젝트

한국에도 삼중수소가 방출되는 월성1호기

폐쇄가 결정났는데도 이를 뒤집으려는 이들이 지금도 쉬지 않고 움직입니다. 

월성핵발전소에 핵폐기물  임시저장시설 맥스터 건설을 두고도

시민들 의견을 무시해서 문제가 되고 있고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도 심각하지요. 국

제적 압력이 중요하다니 시민들이 관심 갖고 궁리해야겠습니다.

관심을 두고, 생각을 해서 

시민에게 의견이 생겨 발언하기 시작하면 

여론이 만들어집니다.  

[일본 원자력자료정보실 사무국장 인터뷰]
원전 주변 광대한 토지 활용해야
탱크에 넣은 뒤 콘크리트 봉쇄를

일 국민조차 동의않는 방류 안돼
한일 시민연대 등 국제압력 관건

마쓰쿠보 하지메 일본 원자력자료정보실(CNIC) 사무국장

“후쿠시마 오염수는 지금처럼 지상에서 탱크 보관을 해야 한다. 탱크 용량이 부족하다고 방사성 물질이 있는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마쓰쿠보 하지메 일본 원자력자료정보실(CNIC) 사무국장은 최근 <한겨레>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와 관련해 가장 현실적이고 안전한 대책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원자력자료정보실은 일본 탈원전 운동의 상징이었던 핵물리학자 다카기 진자부로 주도로 1975년 만들어진 시민단체다. 탈원전 관련 연구와 강연, 자료집 발간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다음은 일문일답이다.

―후쿠시마 오염수 바다 방출은 언제 최종적으로 결정될 것 같은가?

“도쿄전력은 오염수를 희석해 바다에 방출할 것이라고 했다. 희석용 시설이 건설돼야 하는데 건축 허가 등 고려하면 최종 결정 시점은 올여름부터 가을 사이로 본다.”

―바다 방류를 강하게 밀어붙이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일본뿐만 아니라 어느 나라든 원자력 발전을 운영할 때 삼중수소가 나오고 바다나 대기에 방출한다. 그 연장선의 결정이라고 본다. 또 바다 방출이 가장 저렴하다는 점도 작용했을 것이다.”

―일본 안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큰 것 같다.

“많은 시민들이 반대하고 있다. 특히 어민들은 ‘소문 피해’(방사성 물질이 배출돼 위험하다며 후쿠시마 음식을 먹지 않고, 가지 않는 현상) 등 부작용이 커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또 후쿠시마현 내 기초자치단체 의회들이 오염수 방출 우려를 담은 결의를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이런 일본의 부정적 여론이 정부 정책을 바꿀 수 있나?

“직접적인 이해관계자인 어민들의 반대는 영향이 클 것이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등 현지의 이해를 얻지 못하면 오염수 방출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일본 내 반대 목소리와 함께 국제적인 압력이 높아지는 것이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오염수 바다 방출에 대해 한국이나 해외의 환경단체 등이 제재할 방법은 없나?

“유엔해양법협약에 근거해 소송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다만 한국에서 가동 중인 원전, 특히 월성원전에서는 대량의 삼중수소가 나오고 있다.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해양 방출에 의한 영향을 입증하는 것은 꽤 어려울 것이다.”

―오염수 처리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안전한 대책은 무엇인가?

“지금처럼 지상에서 탱크 보관을 계속하는 것이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토지가 없다고 하는데, 있다. 주변에 방사성 폐기물을 보관하기 위한 광대한 땅이 있다. 경제산업성은 다른 목적으로 유용할 수 없다고 하지만 토지 소유자 등과 교섭해야 한다. 탱크 용량이 부족해서 방사성 물질을 바다에 방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일본의 시민단체들은 지상 탱크 보관을 계속하면서 콘크리트로 막아버릴 것을 제안하고 있다. 바다 방출을 하면 국제문제가 될 것이라고 정부에 경고하고 있다.”

―한국 시민사회에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일본 정부는 원전 사용후핵연료에서 플루토늄과 우라늄을 재활용하는 핵연료 사이클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건설 중인 아오모리현 롯카쇼무라의 재처리 공장 6곳은 이를 위한 핵심 시설로 2021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공장은 다량의 방사성 물질을 바다와 대기에 방출하게 된다. 삼중수소만 봐도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보다 10배 많은 양이 나온다. 오염수 바다 방류와 함께 아주 큰 문제다. 한국에서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등이 주축이 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재처리 공장의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플루토늄은 핵무기의 원재료가 될 수도 있다. 한·일 시민연대로 양국의 재처리 계획을 차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김소연 기자 [email protected]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56181.html?_fr=fb#cb#csidx04057324a3a12a3a65f2dc93c134e41

Comments